동서양에서 사물들을 분류하는 방법이 각각 다르다. 서양인들은 사물들 간의 유사성을 판단할 때 ‘범주’를 중요시하지만, 동양인들은 범주보다는 ‘관계’를 중요시한다.
위의 그림 3개를 보고 그중 2개를 하나로 묶는다면 무엇을 묶을지 생각해보라. 만일 당신이 서양인이라면 아마도 닭과 소를 묶을 것이다. 실제로 발달심리학자인 치우리앙황이 이와 같은 그림을 미국과 중국의 어린이들에게 보여주고 하나로 묶는 과제를 시켰을 때, 미국의 어린이들은 같은 분류 체계에 속하는 소와 닭을 하나로 묶는 경향을 보였다(to fit into the animal category). 그러나 중국의 어린이들은 '관계'에 근거한 방식을 선호했다(to group objects on the basis of relationships). 즉, 소와 풀을 하나로 묶었는데 그 이유는 '소가 풀을 먹기 때문이다'라는 관계적 이유 때문이었다.
그러면 왜 동양인들은 사물을 조직화할 때 범주보다는 관계성에 더 주목할까? 고대 중국의 철학자들이 범주화에 그리 관심이 없었고 대신에 '부분-전체'라는 각도에서 세상을 이해하려 했다는 것만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는 아이를 양육하는 방식에서의 문화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처럼 보인다. 즉, 동양의 어린이들은 관계에 주목하도록 양육되고 서양의 어린이들은 사물과 그것들의 범주에 주목하도록 양육된다.
서양의 부모들은 아이에게 명사를 가르치는 일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어떤 사물을 가리키고 그것의 이름과 특성을 가르쳐주는 것을 부모의 사명으로까지 여긴다. 그러나 동양의 부모들은 사물의 이름을 가리치는 것을 그렇게까지 중요하게 생각하지는 않는다. 발달심리학자인 앤 퍼널드와 히로미 모리카와는 생후 6개월, 12개월, 19개월 된 아이가 있는 미국의 가정과 일본의 가정을 각각 방문해서 아이의 어머니들에게 그들이 준비해 간 장난감(개, 돼지, 자동차, 트럭)을 건네주면서 아이와 놀아보게 했다. 미국 어머니들은 일본 어머니들에 비해 사물의 이름('돼지', '멍멍이')을 2배 정보 더 많이 언급한 반면에, 일본 어머니들은 미국 어머니들에 비해 사회적 관계에서 중요한 예절을 2배 더 언급했다. 미국 어머니들은 "이건 차란다. 차 보이지? 차 좋아해? 와, 바퀴가 아주 멋있지!(That's a car. See the car? You like it? It's got nice wheels.)"와 같은 대화를 시도하였지만, 일본 어머니들은 "자, 여기봐, 부룽 부룽! 자, 차를 너한테 줄게. 이제 다시 엄마에게 줘봐. 옳지, 잘했어!(Here! It's a vroom vroom. I give it to you. Now give this to me. Yes! Thank you.)"라는 식의 말들을 많이 했다. 이런 대화를 통하여, 미국의 어린이들은 세상을 '사물'로 이루어진 곳으로 배우고 일본의 어린이들은 세상을 '관계'로 이루어진 곳으로 배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