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G.영문법.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G.영문법. Show all posts

아이언 맨

James: You've all received the official statement of what occurred at Stark Industries last night. There have been unconfirmed reports that a robotic prototype malfunctioned and caused damage to the arc reactor. Fortunately, a member of Tony Stark's personal security staff...


Tony: "Iron Man." That's kind of catchy. It's got a nice ring to it. I mean, it's not technically accurate. The suit's a gold-titanium alloy, but it's kind of evocative, the imagery, anyway.
Agent Coulson: Here's your alibi.
Tony: Okay.
Agent Coulson: You were on your yacht.
Tony: Yeah. 
Agent Coulson: We have port papers that put you in Avalon all night, and sworn statements from 50 of your guests.
Tony: See, I was thinking maybe we should say it was just Pepper and me alone on the island. 
Agent Coulson: That's what happened.
Tony: All right.
Agent Coulson: Just read it, word for word. 
Tony: There's nothing about Stane here.
Agent Coulson: That's being handled. He's on vacation. Small aircraft have sush a poor safety record.
Tony: But what about the whole cover story that it's a bodyguard? He's my... I mean, Is that... That's kind of flimsy, don't you think?
Agent Coulson: This isn't my first rodeo, Mr Stark. Just stick to the official statement, and soon, this will all be behind you. You've got 90 seconds. 
Pepper: Agent Coulson? I just wanted to say thank you very much for all of your help. 
Agent Coulson: That's what we do. You'll be hearing from us.
Pepper: From the Strategic Homeland. 
Agent Coulson: Just call us S.H.I.E.L.D.
Pepper: Right. Let's get this show on the road. 
Tony: You know, it's actually not that bad. Even I don't think I'm Iron Man. 
Pepper: You're not Iron Man. 
Tony: I am so. 
Pepper: You're not. 
Tony: All right, suit yourself. You know, if I were Iron Man, I'd have this girlfriend who knew my true identity. She'd be wreck, because she'd always be worrying that I was going to die, yet so proud of the man I'd become. She'd be widly conflicted, which would only make her more crazy about me. Tell me you never think about that night. 
Pepper: What night?
Tony: You know.
Pepper: Are you talking about the night that we danced and went up on the roof, and then you went downstairs to get me a drink, and you left me there, by myself? Is that the night you're talking about? Thought so. Will that be all, Mr Stark?
Tony: Yes, that will be all, Miss Potts. 


James: And now, Mr Stark has prepared a statement. He will not be taking any questions.
Tony: Thank you. Been a while since I was in front of you. I figure I'll stick to the cards this time. There's been speculation that I was involved in the events that occurred on the freeway and the rooftop. 
Christine: I'm sorry, Mr Stark, but do you honestly expect us to believe that that was a bodyguard in a suit that conveniently appeared, despite the fact that you...
Tony: I know that it's confusing. It is one thing to question the official story, and another thing entirely to make wild accusations, or insinuate that I'm a superhero.
Christine: I never said you were a superhero. 
Tony: Didn't? Well, good, because that would be outlandish and fantastic. I'm just no the hero type, clearly. With this laundry list of character defects, all the mistakes I've made, largely public. 
James: Just stick to the cards, man. 
Tony: Yeah, okay. The truth is I am Iron Man. 

 

'There is' 구문에서 일반적으로 there는 어떤 사람, 사물 등의 존재 유무를 언급하는 문장에서 일종의 가주어 기능을 하여 진주어를 동사 뒤로 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There is' 구문은 특히 주어 앞에 관사가 없거나, 주어가 some, any, no 등 부정한정사의 수식을 받거나, somebody, nothing 등의 부정대명사가 주어일 때 흔히 쓰이며, 주어가 특정한 대상(예: 주어에 정관사가 붙거나 고유명사가 주어)인 경우에는 대체로 쓰지 않는다. 그래서 위의 용법으로는 it을 쓸 수 없다. 

There's a lot of noise in the street. 
거리에 소음이 심하다. (A lot of noise is in the street보다 더 자연스러움)
It is a lot of noise in the street. (X) 

There have been unconfirmed reports that a robotic prototype malfunctioned and caused damage to the arc reactor. 
(동사 'have been'이 강조되어, 즉, 'unconfirmed reports'가 있다('be')는 것을 강조 언급하는 문장이다) 

불가산명사

동양보다 개인성이 강조되는 서양사회에서는 수의 개념을 상당히 중시해서, 말할 때 어떤 사물이 하나인지 여럿인지를 밝히려는 습관이 있다. 하나, 둘 셀 수 있으면 반드시 a spider처럼 a/an을 붙이거나, spiders처럼 끝에 -s를 붙여 수를 나타낸다. 그런데 love, beauty와 같이 특정한 형태가 없어 수를 세기 힘든 추상명사나 물질명사 등과 같은 불가산명사는 관사나 복수형을 써서 단복수를 표시할 수 없다. 

그런데 일부 불가산명사, 특히 심리적·정신적 활동을 나타내는 명사 앞에 a/an을 붙여 명사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한정하기도 한다. 

That child shows a surprising understanding of adult behaviour.
그 아이는 어른들의 행동을 놀랄만큼 잘 이해한다. 

I need a good sleep.
푹 자야겠어. 

재료가 되는 물질을 나타내는 단어는 불가산명사로 취급하지만, 같은 단어를 써서 재료로 만들어진 사물을 나타내는 경우 가산명사로 취급할 수 있다. 

Tea or coffee
홍차 줄까 커피 줄까? 

Three strong black coffees, please.
= Three cups of strong black coffee, please. 
진한 블랙커피 세 잔 주세요. (음료를 주문할 때 가산명사로 취급한다) 

He must have been thirsty. He drank a bottle of water in one gulp.
그는 정말 목이 말랐나 봐. 물 한 병을 한 번에 다 마셔 버렸어. 

We were still in South Korean waters.
우리는 아직 한국 영해 내에 있었다. (특정 국가의 영해) 

may, might, could

To us today, people's love of the theater and their willingness to endure some hardship to indulge it may not seem terribly odd (요즘의 관점에서 본다면 자신이 좋아하는 공연을 보기 위해 이 정도의 노력을 하는 것은 그리 대단한 일이 아니다). But among the great civilizations of the day, including Persia, India, and the Middle East, as well as China, it is possible to imagine only the Greeks feeling free enough, being confident enough in their ability to control their own lives, to go on a long journey for the sole purpose of aesthetic enjoyment. The Greeks' contemporaries lived in more or less autocratic societies in which the king's will was law and to defy it was to court death. It would not have been in a ruler's interest to allow his subjects to wander about the countryside even if his subjects' ties to the land and the the routines of agriculture had allowed them to imagine going on a long journey for purposes of recreation. 
'생각의 지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거나 앞으로 일어날 가능성에 대해 언급할 때 may, might, could를 쓴다. 부정문에서 쓸 때는 may/might not과 couldn't의 의미가 다른점에 주의해야 한다. 

She may not be at home. 
그녀는 집에 없을지도 모른다. (Perhaps she is not at home)

I could not complete the project last week because I was busy.
지난주에 바빠서 프로젝트를 끝내지 못했다. (impossibility)

또 어떤 일이 확실하다고 단정할 때 must, 그리고 확실성을 부정하여 '~일 리가 없다'라는 의미로는 can't을 쓴다. 

It can't be Craig at the door. He is in the States. 
Craig이 왔을 리 없어. 그는 미국에 있잖아. (certainly not)

형용사의 어순

 



영어에서 형용사는 한 가지 형태밖에 없으므로(비교급과 최상급 제외) 그 용법이 비교적 간단하지만, 명사 앞에 여러 개의 형용사를 나열할 경우, 형용사 배열 순서에 나름의 규칙이 있다. 복잡한 문법 영역이며, 형용사 어순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간단한 규칙을 제시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가장 중요한 규칙은 다음과 같다.

한정사➠의견 형용사➠성상 형용사➠부류 형용사➠명사 수식어➠명사 

의견 형용사: definite(명확한), absolute(절대적인), perfect(완벽한) 등
성상 형용사: 크기(size)➔연령(age)➔모양(shape)➔색깔(color)➔기원(origin)➔재료(material) 
부류 형용사: political, educational 등

a black wine bottle
a black(색깔), wine(부류), bottle(명사)

a wonderful old house
a wonderful(의견), old(연령), house(명사)

a big new car factory
a big(크기), new(연령), car(명사 수식어), factory(명사)

enormous black iron gates
enormous(크기), black(색깔), iron(재료), gates(명사)

a little modern square brick house
a little(크기), modern(연령), square(모양), brick(재료), house(명사) 





(뉴스영어) Seoul's unionized bus drivers end strike after quickly reaching agreement

A sigh of relief indeed.  

The strike by Seoul bus drivers began at 4 AM on Thursday, and this definitely caused commuters to suffer in the morning.

Fortunately, an agreement was reached later in the day at 3 PM, and buses began running across the capital again. 

The Seoul Bus union and management had been negotiating over a wage hike for three months, starting December 28th last year.

"Final" wage talks took place on Wednesday at 3 PM and ran through early Thursday morning.

The union was demanding a more than 12-percent increase in hourly wages, while management was pushing for 2-point-5 percent.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Commission came up with an arbitration plan, increasing the hourly wage by 6-point-1 percent; but the two sides failed to agree on this, leading to a halt in operations for the first time in 12 years. 

With more than 97-percent of services in Seoul affected, that is seven-thousand-two-hundred-10 intracity buses, commuters suffered serious inconvenience in the morning.

"Other buses except for blue, intracity buses are running, and it is making it quite difficult to commute"

Fortunately, the strike did not last very long.

The union and the management were able to strike a deal at around Thursday 3 PM to raise wages by 4-point-48-percent for this year, and to give around 4-hundred-80 U.S. dollars as extra holiday pay, leading to the end of the strike.


과거진행와 단순과거를 함께 한 문장(주로 관계사절 또는 시간의 부사절)에 써서, 과거진행은 이전부터 계속되어 오던 '배경' 행위나 상황을 나타내고, 단순과거는 이런 상황이나 행위 도중에 발생한 일시적 사건이나 행위를 나타낸다이와 유사하게, 과거완료진행도 단순과거의 '배경' 행위나 상황을 보여준다. 과거진행이 아닌 과거완료진행을 쓰는 이유는 '더 오랜 과거부터 과거의 어느 한 시점까지 지속된 기간'을 나타낼 때는 과거진행이 아니라 과거완료진행을 쓰기 때문이다. 

It happened while I was living in Seoul last year.
그 사건은 내가 지난번 서울에 살고 있을 때 일어났다. 

At that time we had been living in the caravan for about six months.
그 당시 우리는 여섯 달 가량 이동식 주택에서 살고 있었다. 

We'd been walking since sunrise, and we were hungry. (O)
We were walking since sunrise, and we were hungry. (X)
동틀 녘부터 걸었더니 우리는 허기가 졌다. 

be+-ing/to 부정사 & 스크린 영어회화

Colette: How do you tell how good bread is without tasting it? Not the smell, not the look, but the sound of the crust. Listen... Symphony of crackle. Only great bread sounds this way.
맛을 보지 않고 빵이 신선한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냄새도, 생김새도 아니야. 소리야. 빵껍질에서 나는 소리. 들어 봐... 빵 갈라지는 소리가 완전 교향곡이지. 좋은 빵에만 이런 소리가 나. 
Colette: The only way to get the best produce is to have first pick of the day, and there are only two ways to get first pick; grow it yourself or bribe a grower. 
최고의 야채를 얻는 유일한 방법은 그날 처음 수확한 걸 받는 거야. 그러려면 두 가지 방법이 있어. 직접 재배하든가 아니면 농부에게 뇌물을 먹이든가. (주격보어)


Skinner: Congratulatioins. You were able to repeat your accidental success. But you will need to know more than soup if you are to survive in my kitchen, boy. Colette will be responsible for teaching you how we do things here. 
축하하네. 우연한 성공이 반복됐군. 하지만 내 주방에서 살아남으려면 수프 말고도 다른걸 알아야 해, 친구. 콜레트가 책임지고 주방 일을 가르쳐 줄거다. (의도나 소망)
Linguini: Listen, I just want you to know how honored I am to be studying under such...
들어 봐, 정말 훌륭한 선배에게 배우게 되어 매우 영광이야... (계획, 예정)
Colette: No, you listen. I just want you to know exactly who you are dealing with. How many women do you see in this kitchen?
아니, 너나 잘 들어. 네가 모셔야 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정확하게 알려 주지. 이 주방에 여자가 몇 명 보이지?
Linguini: Well, I hah-um...
글쎄, 난 하.. 음...
Colette: Only me. Why do you think that is?
나밖에 없어. 왜 그럴까?


be동사의 보어자리에 to부정사, -ing 둘 다 올 수 있지만, 비격식체에서는 대체로 -ing를 쓴다 (더 자연스럽게 들린다고 한다). 

이렇게 to부정사는 격식체로 주격보어로 쓰이지만, 소위 'be+to부정사' 용법으로도 쓰인다. 'be+to부정사' 용법은, 계획과 예정 (공식/비공식적인 일정이나 계획 등을 언급할 때 (for official arrangements or reports saying what will almost certainly happen)), 명령 (단호한 명령을 나타내는데 주로 부모가 아이에게 명령할 때 (for future events which involve instruction or necessity))등의 의미를 갖는다. 또 흔히 if절에 <be+to부정사>를 써서 의도나 소망을 나타내는데, 이때 주절은 그런 의도나 소망이 성취되기 위한 전제조건을 표현한다. 그리고 운명적으로 일어날 수밖에 없는 일, 미래에 실현될 일을 나타내기도 한다. 

여기서 to부정사는 be동사의 '보어'로 쓰인 것은 분명하지만, be동사의 보어로는 명사와 형용사 모두 쓰일 수 있으므로, 이 두 품사 중 무엇을 대신해 쓰였다고 단정하기 힘들다. 

You are to do your homework before you watch TV.
TV를 보기 전에 숙제부터 해야 한다. 
(to use to tell someone what they must or mustn't do, 명령



Django: Now don't you feel better, Remy? You've helped a noble cause.
레미, 기분 좋지 않니? 넌 고귀한 일을 한거야. 
Remy: Noble? We're thieves, Dad. And what we're stealing is, let's face it, garbage.
고귀한 일이요? 우린 도둑이에요, 아빠. 그리고 우리가 훔치는 건 쓰레기라는 걸 인정하자고요. 
Django: It isn't stealing if no one wants it.
훔치는 건 아니지, 버린 거니까. (be동사의 보어)
Remy: If no one wants it, why are we stealing it?
버린 걸 왜 훔치는 거에요?
Remy: Let's just say we have different points of view. 
서로의 견해가 다르다고 해 두자.

밑줄친 부분의 stealing은 동명사로 be동사의 보어이다(다른 두 문장은 현재진행형시제). 

-ing형은 동사(진행시제)뿐만 아니라 명사(동명사)나 형용사(분사)로도 쓰인다. 

You're smoking too much these days.
너 요즘 담배를 너무 많이 피운다. (동사: 현재 진행 시제의 일부)
Smoking is bad for you.
흡연은 몸에 해롭다. (명사: 문장의 주어) 
There was a smoking cigarette end in the ashtray.
재떨이에 타고 있는 담배꽁초가 하나 있었다. (담배꽁초를 수식하는 형용사) 

비교급 & '스크린 영어회화'

Matua: I'm curious about that chicken eating the rock – he seems to lack the basic intelligence required for pretty much everything, should we maybe just... cook him?
돌을 먹는 저 닭이 참 궁금해. 누구나 거의 무슨 일이든 하려면 기본적으로 지능이 필요하잖아. 그런데 저 애는 그런 기본적인 지능이 없는 것 같아. 우리 그냥 쟤를 요리해 먹을까?
Moana: Well, sometimes our strengths lie beneath the surface – far beneath in some cases – but I'm sure there's more to Heihei than meets the eye. 
그런데 말이죠. 어떤 땐 우리의 진정한 힘이란 보이지 않는 곳에 있는 것 같아요. 어떤 경우에는 아주 깊숙한 곳에요. 그래서 하는 말인데요. 헤이헤이의 힘은 보이지 않는 곳에 있다고 확신해요. 

('모아나')

than 뒤에 오는 주격/목적격은 관계대명사의 생략법처럼 흔히 생략된다. 이때 than이 뒤에 나오는 절의 주어를 대신하고 있고, than이 목적어 역할을 했다고 설명한다. 문법적으로 유사 관계대명사라고 한다. 참고. 

He worries more than is necessary.
그는 필요 이상으로 걱정을 한다. (주어) 
There were a lot of people at the exhibition – more than came last year. 
전람회에 사람이 많았다. 지난해보다 더. (주어) 
They sent more vegetables than I had ordered.
그들은 내가 주문했던 것보다 더 많은 채소를 보냈다. (목적어) 



He is the youngest Chef ever to achieve a five-star rating.
그는 별 5개를 획득한 최연소 요리사이기도 합니다.

Remy gives Linguini's hair a few tugs to demonstrate; Linguini's limbs move correspondingly. The other cooks react; this strange and familiar action of Linguini's is suddenly stranger than ever.
레미가 시범으로 링귀니의 머리를 잡아당기자 링귀니의 팔이 반응하며 움직인다. 다른 요리사들에게 링귀니의 이런 이상하면서도 익숙한 행동은 너무 낯설다.

('라따뚜이') 

ever는 비교급이나 최상급과 함께 쓰여 그 의미를 강조한다. 여기서 ever가 최상급 the youngest Chef 뒤에 위치했는데, 그 이유는 to부정사구를 that절로 바꿔보면 알 수 있을것 같다.

the youngest Chef ever to achieve a five-star rating
→ the youngest Chef that has ever achieved a five-star rating

다음 예문도 참고. 

What is the best book you've ever read?
네가 지금까지 읽은 것 중 최고의 책은 뭐야? 
It's the largest picture ever painted.
그것은 지금까지 그려진 것 중 가장 큰 그림이다. 



👉비교급을 쓸 수 없는 형용사?!

형용사는 '정도 형용사'(비교급, 최상급으로 쓸 수 있는 형용사)와 '비정도 형용사'(비교급, 최상급으로 쓸 수 없는 형용사)로 나눌 수 있다. difficult, important, happy, tried 등의 정도 형용사는 다른 정도를 표현할 수 있는 단어들이다. 이를테면, 상황이 더/덜 어렵거나 또는 더/덜 중요할 수 있으며, 사람들이 더/덜 행복하거나 더/덜 피곤할 수 있다. impossible, exhausted 등 비정도 형용사는 '양자택일'의 속성을 지닌 단어들이다. 우리는 보통 특정 상황이 다른 상황들보다 더 불가능하다거나, 또는 누군가가 아주 녹초가 되어 있지는 않다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즉, 상황은 불가능하거나 가능하며, 사람들은 지쳐있거나 지쳐 있지 않다. 

조동사 would & '스크린 영어회화'

Gramma Tala: And the darkness has continued to spread, chasing away our fish, draining the life from island after island...
그런데 그 어둠은 게속해서 퍼지고 있어, 우리 물고기들을 쫓아내고, 섬마다 돌아다니며 생명을 빨아먹고 있는 거지...
Moana: (small, to herself) Our island...
(혼잣말을 하듯 작은 소리로) 우리 섬은...
Gramma Tala: But... one day, someone will journey beyond our reef, find Maui... deliver him across the great ocean... to restore the heart of Te Fiti...
그러나 언젠가는 누군가가 우리 산호초 너머로 나아가서 마우이를 찾을 거야. 그자를 대양 너머로 데리고 와서 테피티의 심장을 다시 돌려놓을 거야.
(Tala places the heart of Te Fiti in Moana's hand. Moana looks at it... a memory is triggered. Gramma smiles.)
탈라가 테피티의 심장을 모아나의 손에 올려놓는다. 모아나가 그것을 보자 기억이 되살아난다. 할머니가 미소를 짓는다. 
I was there that day. The ocean chose you.
그때 나도 거기에 있었지. 바다는 너를 선택했단다. 
Moana: I... thought it was a dream.
난... 그게, 꿈인 줄 알았어요.
Gramma Tala: Nope! Our ancestors believed Maui lies there, at the bottom of his hook. Follow it, and you wiill find him.
아니야! 우리 조상들은 마우이가 갈고리 끝에 누워 있다고 믿었단다. 그것을 따라가라, 그러면 마우이를 찾게 될 거다. 
Moana: But why would it choose me? I don't even know how to make it past the reef... (then, realizing) But I know who does...
하지만 왜 그게 날 선택하려고 했던 거예요? 난 산호초 너머로 나아가는 방법도 모르는데요... (그러다 깨닫는다) 하지만 누가 할 수 있는지는 알아요...

'유언장'을 영어로 will이라고 한다. 이 말은 will 속에는 '~할 의지'를 보여주는 어감이 있다는 말이 된다. 예를 들어 I'll stop smoking하면 금연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이듯이. '~을 하지 않겠다'는 will not/won't라고 한다. 

'Why would~?'은 '주어가 왜 그렇게 ~하려고 했어?'라는 의미이다. 즉, 주어가 과거에 어떤 일을 하려고 의지를 보였던 이유가 무엇인지를 캐물을 때 쓰기 좋은 표현이다. 여기서 would는 will의 과거형. 

그런데 '무엇을 하겠다'는 결심은 타임머신이 있지 않은 이상 과거에 대해서는 할 수가 없으니까, will은 '앞으로의 일, 미래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반면에 would는 밑바닥에 어떤 조건이나 전제가 깔려있다. (아래 설명 참고) 



Maui: Congratulations on not being dead. Curly. You surprised me. But I'm still not taking that thing back. You wanna get to Te Fiti, you gotta go through a whole ocean of bad – not to mention Te ka. Lava Monster? Ever defeat a lava monster?
죽지 않고 살아 있으니 축하해. 곱슬아. 너 때문에 놀랐어. 그렇지만 난 역시나 그걸 도로 갖다놓지는 않을거야. 테피티에 가려면 엄청난 고난이 기다리고 있는 바다를 건너야 해. 테카는 말할 것도 없고, 용암 괴물 말이야? 용암 괴물하고 싸워서 이긴 적이 있어?
Moana: No, have you?
아뇨, 없어요. 당신은요?
Maui: I'm not going on a suicide mission with some..."mortal." (before she can interrupt) You can't restore the heart without me and me says no. I'm getting my hook. End of discussion.
난 자살 특공대로 나서지는 않을거야. "죽을 수밖에 없는 인간하고" (모아나가 말을 가로막기 전에) 넌 나 없이는 그 심장을 복구할 수 없어, 그런데 내 대답은 '노'야. 난 내 갈고리를 찾으러 갈 거야. 더 이상 너랑 할 얘기가 없어.
Moana: You'd be a hero. That's what you're all about, right?
당신은 영웅이 될 거예요. 그게 바로 당신의 전부잖아요, 그렇죠? 
Maui: Little girl, I am a hero.
이 아가씨야, 난 이미 영웅이야. 
Moana: Maybe you were, but now you're just the guy who stole the heart of Te Fiti, the guy who cursed the world. You're no one's hero.
그거에 전에는 그랬겠죠, 하지만 지금은 테피티의 심장을 훔친 그냥 평범한 아저씨에 불과해요. 세상을 저주에 빠드린 남자죠. 이제는 당신을 아무도 영웅으로 인정해주지 않아요. 
Maui: No one?
아무도? 
Moana: (then, holds up heart) But, put this back, save the world? You'd be everyone's hero
(심장을 들어 보인다) 하지만 이걸 다시 돌려놓고 세상을 구한다고 생각해봐요. 누구나 당신을 영웅으로 생각할 거예요. 
(like a stadium roar) Maui! Maui! You're so amazing.
(마치 군중들이 환호하는 것처럼) 마우이! 마우이! 정말 굉장해.
(Maui enjoys the moment, then realizes it's just Moana making the sounds in Maui's ear. He swats her away like a gnat.)
마우이는 순간적으로 이 상황을 즐기지만, 모아나가 마우이의 귀에 대고 내는 소리라는 것을 깨닫고는, 몰려드는 각다귀를 쫓듯이 모아나를 찰싹 쳐서 쫓아버린다. 
Maui: We'd never make it past Te Ka. Not without my hook.
우리는 테카를 피하지 못할 거야. 내 갈고리가 없으면 불가능해. 
Moana: Then we get it. We get your hook, take out Te Ka, restore the heart. (extends hand) Unless you don't wanna be Maui, demigod of the wind and sea, hero to all.
그러면 찾으면 되잖아요. 우리, 갈고리를 찾아요. 그리고 테카를 처치하는 거예요. 그리고 심장을 복구하는 거죠. (손을 내밀며) 당신이 마우이, 바람과 바다의 반신반인, 모든 사람들의 영웅인 마우이가 되고 싶지 않다면야 할 수 없지만. 

You/We'll be~가 단순히 앞으로 그렇게 될 거라는 미래의 일을 예측하는 거라면, You/We'd be~는 밑바닥에는 어떤 조건이나 전제가 깔려있다. 마우이가 테피티의 심장을 도로 갖다 놓아 세상을 구한다면 'You'd be hero' 이렇게 될거라는 얘기를 하기 위해 would를 사용했다. 



Tui: No one goes outside the reef. We are safe here, there is no darkness, there are no monsters...
누구도 산호초 바깥으로 나가서는 안 돼요. 여기에 있으면 우리는 안전해요. 어둠이니 뭐니 하는건 없어요. 괴물 같은 것도 없고요...
Kids: Monster! Monster! It's the darkness! This is how it ends! I'm gonna throw up!
괴물이다! 괴물이다! 어둠이다! 이렇게 끝나는 거야! 난 토할 것 같아!
Tui: (as kids pile on) There's no monsters. No monsters! There is nothing beyond our reef but storms and rough seas! As long as we stay on our very safe island, we'll be fine!
(아이들이 우르르 몰려들어 엎치락 뒤치락한다) 괴물 같은 건 없어. 괴물은 없단다! 우리 산호초 너머에는 아무것도 없어. 폭풍이나 치는 거친 바다만 있을 뿐이야! 아주 안전한 우리 섬에 있는한 우리는 걱정할 게 없단다!
Gramma Tala: The legends are true, someone will have to go!
전설은 사실이란다. 누군가는 가야해!
Tui: Mother, Motunui is paradise. Who would want to go anywhere else?
어머니, 모투누이는 낙원이에요. 누가 다른 곳에 가고 싶어 하겠어요?

누군가는 이 섬을 떠나야 한다는 어머니에게 족장이 Tui는 여기는 낙원인데, 누가 떠나고 싶겠냐면서, 'Who would want to+동사원형?'의 패턴을 사용하고 있다. 이 패턴은 의미상 '가정'을 나타내기 때문에 가정법에서 쓰이는 would가 쓰인 것이며, 결국 그러고 싶은 사람은 없다는 의미의 역설적인 표현이다. 



'would'는 지금은 더이상 지속되지 않는 '과거의 반복적인 행위나 사건(repetition in the past)'을 나타낸다. 단, would는 과거의 상태를 표현할 때는 사용할 수 없고, 이 때는 used to를 쓴다 

When we were children, we used to go skating every winter. (O)
When we were children, we would go skating every winter. (O) 
우리는 어린시절 겨울마다 스케이트를 타러 가곤 했다.

My mother used to live in Seoul when she was young, a long time ago. (O)
My mother would live in Seoul when she was young, a long time ago. (X)
(어머니가 서울에서 살았다는 것은 간헐적으로 반복된 행동이나 상황이 아니므로, 이 문장은 문법적으로 불가능하다)

(뉴스영어) Brazilian Amazon sees almost 3,000 fires in February, most since records started in 1999

Brazilian Amazon sees almost 3,000 fires in February, most since records started in 1999

The Brazilian Amazon recorded almost 3-thousand outbreaks of fire in February the highest for the month since recordings began 25 years ago.

According to the National Institute for Space Research on Wednesday the northern region of the rain forest is bearing the brutal brunt of the blazes.

Experts are linking the rampant fire partly to climate change and to forest clearing for agriculture.

Last year the Brazilian Amazon was devastated by wildfires amid a severe drought between June and November.




Brazilian Amazon sees almost 3,000 fires in February, most since records started in 1999. 
The Brazilian Amazon recorded almost 3-thousand outbreaks of fire in February (which was) the highest for the month since recordings began 25 years ago. 

시간을 나타내는 since가 쓰인 경우, 주절에는 대체로 현재완료나 과거완료시제를 쓴다. 그러나 '변화'를 의미할 때는 현재나 과거시제를 쓰기도 한다.

예문) I've known her since 2005. (현재완료) 나는 그녀를 2005년부터 알고 지냈다. You're looking much better since your operation. (현재진행) 수술을 받은 뒤로 안색이 훨씬 좋아 보여.




Experts are linking the rampant fire partly to climate change and to forest clearing for agriculture.

Last year the Brazilian Amazon was devastated by wildfires amid a severe drought between June and November.

👉기후 변화(climate change)와 기상 이변(extreme weather events)

As the climate changes,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extreme weather events are increasing.

가뭄(drought), 폭염(heat wave), 폭우(heavy rain), 폭설(heavy snowfall), 홍수(flood), 국지성 호우(concentrated downpour), 태풍(typhoon) 등이 기상 이변(extreme weather events)에 해당한다. 

기상 이변(extreme weather events)과 함께 따라오는 것이 바로 산불(wildfires)같은 자연 재해(natural disaster)이다. 영어에서는 극심한 자연 재해를 종종 the wrath of Mother Nature(대자연의 분노)라고 비유적으로 표현한다. 

👉 삼림파괴(deforestation)와 자연재해(natural disaster)

The forest clearing for agriculture is one of the primary drivers of deforestation, worsening natural-disaster risks

(뉴스 영어) S. Korean researchers develop world's fastest text-to-image generative AI

Time is of the essence in society today especially where technology is concerned.

That being said a generative AI application developed by researchers here has proven to be the fastest in creating an image from a text command in two seconds. 

 Researchers input a sentence into the system.

After entering a sentence that reads, "A realistic photo of an astronaut reading a book on Mars under the moon," two seconds later, the "Koala 700M," developed in South Korea, is the first to come up with an image. 

Following that, "Karlo," made by KakaoBrain, took 3.6 seconds to come up with an image, while "DALL-E 2" and "DALL-E 3," developed by OpenAI, took over 10 seconds each. 

Among generative AIs that convert text descriptions into images, Koala 700M is the fastest in the world. 

High speed is achieved by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distillation" technology, which transfers knowledge from a large model to a smaller model without loss of validity. 

"Existing technologies can generate high-quality images, but are slow. 

However, Koala has developed technology to generate images more quickly by lightweighting the large neural network model." 

The researchers have also developed a model that incorporates visual intelligence technology into conversational AI.

Named "Ko-LLaVA," it allows AI and humans to ask and answer questions about images or videos. 

"We plan to continue our research, focusing not only on the technology of generating images from text but also on the field of video generation." 

The research team plans to expand the utility of the "knowledge distillation" technology, proven effective in image generation, to other areas, and develop leading artificial intelligence.




especially의 뜻과 쓰임 👇






The research team plans to expand the utility of the "knowledge distillation" technology, proven effective in image generation, to other areas, and develop lea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로 연결된 표현에서 반복되는 단어는 종종 생략된다.

a knife and (a) fork 
in France,
(in) Germany and (in) Spain 

그런데 같은 동사나 목적어가 있을 때는 반드시 두번째 동사나 목적어가 생략되는 것은 아니다. 혼란을 피하거나 문장 구성을 단순하게 만들기 위해 첫 번째 동사나 목적어를 생략하기도 한다. 또 동사의 형태가 달라지더라도 반복되는 동사를 생략하기도 한다.

Kevin likes dancing and Annie (likes) athletics.
케빈은 춤추는 것을 좋아하고 애니는 운동을 좋아한다.

I have always paid my bills and I always will (pay my bills).
나는 늘 내 청구 대금들을 지불해 왔고, 앞으로도 늘 그럴 것이다.

Daniel planned (the trip) and Megan paid for the trip.
다니엘이 여행을 계획했고 메간이 여행 경비를 냈다. (첫번째 목적어 생략)

I can (go) and will go.
나는 갈 수 있고 또 갈 것이다. (첫번째 동사 생략)

(뉴스 영어) Changing consumer trend for flowers during S. Korea's graduation season

"Only about 60 percent." This is what one flower shop owner said when asked how much sales had recovered during the recent graduation season compared to pre-pandemic levels. Graduation season in Korea during December through February is usually when the flower industry sales blossom. But lately, it's been wilting.

"Because people haven't been buying flowers that often even after COVID-19. The need for flowers has disappeared. If people had been continuously buying flowers, they would be interested in buying them, and sometimes even making a habit out of buying flowers." One expert offered other reasons. "There's the perception that flowers are too expensive. And along with the decrease of the school-age population, shrinking overall consumption are other reasons as well."

According to the auction price data from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earlier this month, the prices of many flowers used in graduation bouquets saw on-year increases.

In particular, hydrangea was up by around 150 percent, gypsophila rose by 30 percent, and freesia around 10 percent. Experts say factors include bad weather and increased imports of low-cost flowers. So, due to higher prices, people are looking at ways to buy flowers more cheaply.

"I usually go to flower markets and buy them in bulk to get them at a more reasonable price." Some are even trading flowers through used goods smartphone apps. "A graduation bouquet like this can cost as much as between 20 and 50 dollars, but they are also being traded at lower prices, sometimes reduced by more than 50 percent on used goods apps." Bouquets that are said to have been used only for a short time to take pictures with at graduation ceremonies are being traded using these platforms. With this having a knock-on effect on the flower industry, one expert says there are ways to see it bloom again.

"The distribution stage should be reduced, prices should be lowered for consumers,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should be given to farmers and for labor costs due to the change in the labor environment." And the expert concluded the government should come up with actual measures to revive the industry, along with its five-year promotional plan announced in 2022 to increase flower production volume by over 520-million U.S. dollars by the year 2026.

한 국가의 산업들은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런 관계를 한 단어로 interconnected(상호 연결된) 또는 intertwined(얽혀 연관된)로 표현한다. 그러다 보면 한 업종에서 생긴 일이 다른 업종으로 번져 파급 효과가 생기기도 하는데, '파급 효과'를 나타내는 단어로 knock-on effect, spillover effect, ripple effect, domino effect 등이 있다. '~에 파급 효과가 있다'는 have a knock-on effect[spillover, ripple, domino) effect on~라고 쓴다.


Because people haven't been buying flowers that often even after COVID-19. The need for flowers has disappeared. If people had been continuously buying flowers, they would be interested in buying them, and sometimes even making a habit out of buying flowers.

학교 문법에서 1차(미래의 일에 대한 가정), 2차(현재사실의 반대), 3차(과거사실의 반대) 조건법을 배웠는데, 실생활에서는 시제가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1990년대 실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통적인 1차, 2차, 3차 조건절 구문은 전체 if절의 25%에도 못 미친다고 한다.

if절은 3차 조건법으로, 주절은 2차 조건법으로 쓰는 경우가 제일 많다고 하는데, 이 복합가정법 구문은 "to have a past hypothetical with a present consequence"을 말할 때 유용하다.

예문) If you hadn't left the map at home, we wouldn't be lost. (You left the map at home in the past; we are lost now.)

if절 & '스크린 영어회화'

간접의문문

if는 whether처럼 간접의문문을 이끌어서 격식있는 문장을 만들 수 있다(주로 격식체에 쓰이는 동사들 뒤에는 통상 whether를 쓴다). 위 문장에서 if절은 간접의문문을 이끌며 '~인지 아닌지'의 뜻으로 쓰였다. 

Colette: Yes...! "Against all odds Gusteau's has recaptured our attention. Only time will tell if they deserve it." 
네! "어려움도 있었으나 구스토 식당은 다시 관심을 받게 되었다. 그럴 가치가 있는지는 좀 더 시간이 지나면 알게 될 것이다."


when/if 단순현재, 단순현재 (zero conditionals)

: to talk about facts and truths, or a general situation that is true for everyone
: when/if가 혼용되어 사용된다.

Remy: The sous chef... there. The sous is responsible for the kitchen when the chef's not around.
부주방장은... 저기요. 주방장이 없을 때 주방을 책임지는 사람이에요. 


when/if 단순현재, will+동사원형 (first conditionals)

: to talk about a possible future situation and its possible result, which is specific or one-off
: when/if가 혼용되어 사용되지 않는다. 화자가 미래에 어떤 일이 발생할 것으로 확실할 때 when (certain to happen), 발생 여부 또는 진위 여부가 불확실한 일이나 상황을 언급할 때는 if를 쓴다 (likely to happen).

When I go to the shops, I'll get some bread. (I'm definitely going to the shops)  
≠ If I go to the shops, I'll get some bread. (I might not go to the shops)

Inspector: Monsieur, I have the information. If someone cancels, I'll slot you in.
선생님, 접수했습니다. 다른 사람이 취소하면, 더 빨리 해 드릴께요 (누군가가 취소할 수도 있고, 취소하지 않을 수도 있고) 

*slot sb in ~를 위한 자리를 마련하다 


가정법 과(second conditionals)

현재 또는 미래의 비현실적인 상황이나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상황을 가정할 때, if절에는 실제 의미상으로는 현재 또는 미래라도 과거시제를 쓰며, 주절에는 <would+동사원형>을 쓴다.

Skinner: You are either very lucky or very unlucky. You will make the soup again, and this time I'll be paying attention. Very close attention. They think you might be a cook. But you know what I think, Linguini? I think you're a sneaky, overreaching little rat! RAT!
넌 운이 아주 좋거나 아주 나빠. 다시 그 수프를 만들어. 이번에는 내가 지켜보겠어. 아주 철저히 말이야. 사람들은 네가 요리사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 하지만 내 생각에는 말이야, 링귀니? 넌 교활하고 주제넘은 어린 쥐야! 쥐야!
Horst: Get the rat. 쥐를 잡아!
Skinner: Linguini! Get something to trap it! 링귀니! 가둘 것을 가져와!
Horst: It's getting away. Get it, get it, get it. 도망간다. 잡아, 잡아, 잡으라고.
Linguini: What should I do now? 이제 어쩌죠?
Skinner: Kill it. 죽여.
Linguini: Now? 지금요? 
Skinner: No! Not in the kitchen. Are you mad? Do you know what would happen to us if anyone knew we had a rat in our kitchen? They'd close us down! Our reputation is hanging by a thread as it is. Take it away from here. Far away. Kill it. Dispose of it. Go!
아니! 주방에서 말고. 너 미쳤어? 우리 주방에 쥐가 있다는 걸 알면 어떻게 되는지 알기나 해? 문을 닫아야 한다고! 우리 명성에 먹칠하는 거지. 여기서 가지고 나가. 멀리. 죽여. 없애 버리라고. 가! 


가정법 과거완료(third conditionals)

과거에 일어나지 않았던 상황을 가정할 때, if절에는 과거완료, 주절에는 <would+have PP>를 쓴다.

Linguini: When I added that extra ingredient instead of following the recipe like you sold, that wasn't me either!
네가 말한 레시피대로 하지 않고 다른 재료를 넣은 건, 그것도 내가 한 게 아니야!
Colette: What do you mean? 무슨 말이야?
Linguini: I mean I wouldn't have done that. I would've followed the recipe. I would've followed your advice. I would've followed your advice to the ends of the earth because I love... your advice.
그렇게 안 했을 거라고. 레시피대로, 네 충고대로 했을 거야. 하늘이 두 쪽 나더라도 네 충고를 따랐을 거야. 왜냐하면 내가 좋아하니까... 너의 조언을 


If절은 2차 조건법으로, 주절은 3차 조건법으로

to have a present theory with a past result
something that won't happen in the future and the result of that condition in the past

If he were taller, he would have become a basketball player. 
If I weren't going on holiday next week, I could have accepted that offer of work.

Colette: Forgive me for intruding on your deep,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chef. Oh, I see how it is. You get me to teach you a few kitchen tricks to dazzle the boss and then you blow past me? 
주방장님과의 끈끈한 관계에 끼어들려고해서 미안하군. 오,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겠어. 나한테 요리 기술을 배워서 주방장님에게 잘 보이더니 이제 나는 안중에도 없는 거야? 
Remy: Wake up... wake up!
일어나... 일어나라고!
Colette: I thought you were different. I thought you thought I was different. I thought... 
I didn't have to help you. If looked out only for myself, I would have let you drown. But I wanted you to succeed. I liked you. My mistake.
넌 다른줄 알았어. 네가 난 다르다고 생각하는 줄 알았지. 난... 널 도울 필요도 없었어. 나만 생각했더라면 넌 그냥 매장될 수도 있었겠지. 하지만, 네가 성공하길 바랬어. 널 좋아했거든. 그게 내 실수였네. 

(뉴스) Resident doctors, medical students shouldn't use patients' lives as leverage

As the tug-of-war continues betwee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the nation's doctors, President Yoon Suk Yeol hits back at the collective action and says it's his "constitutional duty" to stop the medical system from breaking down. The comments came on Tuesday as he opened a Cabinet meeting, with the government exercising its legal authority to order those who've resigned to go back to work.

As of the latest briefing on Tuesday morning, a total of 831 trainee doctors have received such orders.

If they decide to not comply, their licenses could be suspended.
To relieve the current shortages of residences at major hospitals, compensation will be increased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 personnel at regional and specialized emergency medical centers, as well as for emergency medical specialists doing consultations.
Additionally, a "Hospitalized Patient Emergency Care Policy Support Fund" will be established to provide additional compensation to specialists who treat hospitalized patients in the place of the absent residents.
Anyone who has been affected by the current situation can call 1-2-9 and receive help from the government, including legal action.
In addition, the government is easing up the entry process to 12 military hospital emergency rooms for civilians.
In the meantime, President Yoon has also reemphasized that the goal to extend the medical school enrollment quota by 2-thousand was a must and, actually, the minimum. despite some claims that it's way too high. The President also reminded the doctors that he's not only trying to raise the number of doctors, but to justly compensate for essential healthcare in rural areas and severe case treatments, while he will take responsibility for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doctors can practice medicine with conviction by reducing legal risks.



위 문장에서는 공통적으로 '한정적 용법의 관계사절'을 쓰고 있다. '한정적 용법의 관계사절'은 명사를 한정하는 역할을 하기때문에 (to add essential information to a sentence), 이 관계사절이 없으면 명사가 불완전하거나 문장의 의미가 통하지 않거나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 문장이 될 수 있다 (if we remove the clause, the sentence does not make sense). 그래서 선행사 자리에 부정명사구 보다는 명확하게 지칭하는 명사구, 예를들면 the car, this house, my father, Mrs Lewis 등이 쓰인다. 하지만, anyone과 같은 부정 명사구가 '한정적 용법의 관계사절'의 선행사 자리에 올 수도 있는데, 이때는 관계사절이 설명하는 내용이 중요한 의미나 정보를 담고 있을 때라고 이해하면 된다. 

디즈니 애니메이션 & 분열문 (cleft sentence): What I need is a rest.

분열문(cleft sentence)은 특정 단어와 구문을 강조하고 싶을 때 강조하고자 하는 단어를 제외한 모든 어구를 일종의 관계사절에 몰아넣어 강조하는 어구가 독보이게 하는 구문이다. <It...that> 구문이 대표적인 분열문이다. 글에서는 억양을 이용해 강조할 수 없으므로 말보다는 글에서 분열문이 유용하게 쓰이지만 구어에서도 흔히 쓰인다. 

what절을 포함한 관계사절도 분열문에 쓰일 수 있다. what이 분열문을 이끌어 주어자리에 오면(what은 'the thing(s) which'의미로 what으로 시작하는 절은 형용사절이 아니라 명사절이다) 강조하고나 하는 어구는 문미에 놓이게 된다. what절은 대체로 단수 취급하며, what이 분열문을 이끌 경우 뒤에 is/was가 온다. 


1. 명사를 강조 

"Movietown News" presents... spotlight on Adventure! What you are now witnessing is footage never before seen by civilized humanity: a lost world in South America! Lurking in the shadow of majestic Paradise Falls, it sports plants and animals undiscovered by science. Who would dare set foot on this inhospitable summit?

"영화마을 뉴스"가 제공합니다... 집중 조명 모험 속으로! 지금 당신이 목격하고 있는 것은 문명화된 인류에게 단 한 번도 공개된 적이 없는 영상입니다. 남미의 잃어버린 세계! 장엄한 파라다이스 폭포의 그늘 속에 숨어서 지금껏 과학자들이 발견하지 못한 식물들과 동물들이 즐겁게 놀고 있는 곳이죠. 사람이 살기 어려운 이 정상에 과연 누가 감히 발을 들여놓을 수 있을까요?

('업(Up)') 


Django: Now don't you feel better, Remy? You've helped a noble cause.
레미, 기분 좋지 않니? 넌 고귀한 일을 한거야.
Remy: Noble? We've thieves, dad. And what we're stealing is, let's face it, garbage.
고귀한 일이요? 우린 도둑이에요, 아빠. 그리고 우리가 훔치는 건, 쓰레기라는 걸 인정하자고요.
Django: It isn't stealing if no one wants it.
훔치는 건 아니지 버린 거니까. 
Remy: If no one wants it, why are we stealing it? 
버린 걸 왜 훔치는 거예요? 

('라따뚜이') 



2. 동사를 강조 

Hopps: The only thing we have to fear is fear itself.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건 두려움 자체밖에 없어요. 
Mr Hopps: And also bears. We have bears to fear, too. To say nothing of lions, and wolves...
그리고 곰도. 우리는 곰도 두려워해야 돼. 사자나 늑대니 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Mrs Hopps: Wolves?
늑대요
Mr Hopps: Weasels.
그리고 족제비도
Mrs Hopps: You play cribbage with a weasel.
당신은 족제비랑 크리비지 카드놀이도 하잖아요. 
Mr Hopps: And he cheats like there's no tomorrow. Pretty much all predators and Zootopia's full of them.
그런데 족제비는 내일이면 세상이 망할것처럼 엄청나게 속여. 맹수들은 다 똑같아. 그런데 주토피아에는 그런 맹수들이 득실거리잖아. 

('주토피아') 

the only thing that~ 구문은 분열문(cleft sentence)을 만들었다. 여기서는 동사구 '(to) fear itself'를 강조. 

유사하게 동사/동사구를 강조할 때 what...do가 포함된 구문을 쓸 수 있다. 이때 what...do 뒤에는 원형부정사와 to부정사 모두 쓸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하자. 또 비격식체에서는 원형부정사/to부정사 대신에 <주어+동사>를 흔히 쓴다. 

What she does is (to) write science fiction. 
What she does is, she writes science fiction.
그녀가 뭘 하냐면 바로 공상 과학 소설을 쓴다. 



3. 문장 전체 강조

<what+happen> 형태의 분열문을 써서 문장 전체를 강조할 수 있다. 

The car broke down. 차가 고장 났다. 
What happened was (that) the car broke down.
무슨 일이 있었느냐 하면 바로 차가 고장 났다. 

분사구문

분사구문은 두가지 동작을 동시에 설명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a sentence structure we can use when two things happen at the same time, or one action interrupted by another). 

I was shaving and I cut myself. 또는 I cut myself while I was shaving
(두가지 동작을 동시에 설명) 
→ I cut myself while shaving.
(의미상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같은 경우 생략한다)
→I cut myself shaving
(또 종속접속사도 생략가능하다) 

I was running for the bus. I fell over.
→ I fell over running for the bus. 




한 저자에 따르면 분사구문이 주절 뒤에 나오는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때'를 나타내며, 사건의 순서에 있어서도 주절의 동사보다 나중이거나 동시라고 한다! 또 "문법책에는 '결과'를 뜻하는 분사구문이 있는데, 이 경우도 종속절이 언제나 주절의 뒤에 쓰인다. 생각해보면, '결과'는 어떤 행위나 사건의 결과일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개입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결과'를 뜻하는 분사구문은 시간을 뜻하는 분사구문의 일부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It rained for two weeks on end, completely ruining our trip. 
2주 내내 줄기차게 비가 내리는 바람에 우리는 여행을 완전히 망쳤다. (결과) 

be, have, wish, know등의 동사는 대체로 진행시제를 쓰지 않지만, -ing형의 분사구문은 가능하다. 이 경우, 분사구문은 대체로 이유 원인을 나타낸다 (It can be used to explain why someone did something. In this case, the participle clause usually comes first) 

Being exhausted I fell asleep on the train.
= I fell asleep on the train because I was exhausted. 




주격 관계대명사와 be동사를 생략하고 현재분사/과거분사만 쓰는 관계사절의 축약이 있고, 주격관계대명사를 생략하고 완전한 동사 형태를 분사로 쓰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명사나 대명사 뒤에 현재분사나 과거분사가 이끄는 분사구가 놓이게 된다. 그런데 완료분사는 대체로 이런 용법으로 쓰이지 않는다. 

Is that someone knocking at the door?
= Is that someone (who is) knocking at the door?

Cars parked here will be clamped.
= Cars (which are) parked here will be clamped. 

Anyone touching that wire will get a shock.
= Anyone who touches that wire will get a shock.
그 전선을 만지는 사람은 누구든 감전될 것이다. 

Do you know anybody who's lost a cat? (O)
Do you know anybody having lost a cat? (X) 
고양이를 잃어버린 사람을 알고 있니? 



의미상 주어는 대체로 주절의 주어와 같다. 다른 경우 분사구문은 그 자체 내에 주어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주로 격식체에 해당한다. 

분사구문의 의미상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다르면서 생략된 경우 소위 '현수분사구문(hanging/dangling participle)'라고 하고, 이는 종종 잘못된 용법으로 간주하지만, 실제로 이런 문장이 널리 쓰이고 있다. 특히 주절의 주어가 가주어 it이나 일종의 가주어 기능을 하는 there인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사용된다. 또 관용표현으로 우리가 알고있는 분사구문도 주로 현수분사구문이다. 

Walking down the street, the trees looked beautiful in the autumn sun. 
→ Walking down the street, noticed the trees looking beautiful in the autumn sun. (더 나음) 

Generally speaking, man can run faster than women.
일반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빨리 달릴 수 있다. 

관계대명사/부사 & '스크린 영어회화'

Linguini: I mean, I'm not ambitious. I wasn't trying to cook. I was just trying to stay out of trouble. You're the one who was getting fancy with the spices.
내 말은, 난 야망이 없어. 요리하려고 그랬던 건 아니랴. 그냥 사고만 안 치려고 했다고. 양념으로 무슨 짓을 한 건 바로 너잖아!

You're the one who was getting fancy with the spices. 
It is you who were getting fancy with the spices. 

이 두 문장의 차이는 무엇일까? 관계사절은 3인칭에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I who... you who... we who... 등은 매우 격식을 차리는 표현 외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고 한다. 지나치게 딱딱하지 않게 또 가볍게 보이지 않게 말하려면 I who...등 대신에 the one who... the person who... 등의 구문을 사용하면 된다고 함.

It is I who am responsigle. 책임질 사람은 나다. 
→ I'm the one who's responsible. 
→ I'm the person who's responsible.

관사 (a/an, the, 무관사)



한국어와 달리 영어에서는 명사 앞에 관사(a, an, the)가 놓이기도 하고, 때로는 아무런 관사도 쓰이지 않기도 한다. 

1. Definite or indefinite?
지시하는 바가 분명하면, the를 쓴다
지시하는 바가 분명하지 않으면 다음의 두 가지 질문을 마저해봐야 한다

2. Countable or uncountable?
셀 수 없는 경우이면, 관사를 쓰지 않는다
셀 수 있는 경우이면, 다음의 질문을 마저 해본다

3. Singular or plural?
단수이면, a/an을 쓴다
복수이면, 아무 관사도 쓰지 않는다. 


지시하는 바가 분명한가(Definite or indefinite)?

독자와 청자가 '어느 것(which)'인지 모른다면, 명사는 지시하는 바가 구체적이지 않은 것이다. 이 질문에 접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명사가 지시하는 바가 분명하지 않다고 먼저 가정해보는 것이다. 그리고 스스로 물어보라. "이 명사가 지시하는 바가 구체적이어야 할 특별한 이유라도 있는가?"

① 앞에서 이미 언급한 경우 (before singular nouns that we have already mentioned with a/an)

She's got two children: a boy and a girl. The boy's fourteen and the girl's eight. 
그녀에게는 자녀가 둘 있는데, 사내아이 하나와 여자아이 하나다. 사내아이는 열네 살이고 여자아이는 여덟 살이다. 

② 지칭하는 대상을 명시한 경우 (when we say exactly which person or thing we mean), 또는 정황으로 보아 분명한 경우 (when it is clear which person or thing we mean)엔 단수명사, 복수명사, 불가산명사 앞에 정관사 the를 붙인다 (before singular, plural or uncountable nouns).

③ 단 하나밖에 없는 것 앞에는 the를 붙인다.

The sun is shining and there aren't any clouds in the sky. 

④ 최상급 앞에는 대체로 the를 붙인다. 가장 좋거나 가장 큰 것 등은 하나뿐이므로 화자가 무엇을 지칭하는지 분명하기 때문이다. 

I'm the oldest in my family.
나는 우리집에서 가장 나이가 많다. 

⑤ 'the 명사 + of' 

in the middle of the night 
at the end of my holiday 


셀 수 있는가(countable or uncountable)?

전형적으로 How many?라고 스스로 물어 판단해봐야 한다. 

많은 경우 추상명사가 '일반적인' 개념을 의미할 때는 불가산명사, '구체적인' 개념을 의미할 때는 가산명사로 취급한다. time, life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Life is complicated. 인생은 복잡하다.
He's had really difficult life. 그는 정말 힘겹게 살아왔다. 


무관사

지시하는 바가 구체적이지 않고 셀 수 없는 명사이거나, 지시하는 바가 구체적이지 않고 명사가 복수인 경우엔 관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 구체적이지 않기때문에 정관사도 쓰지 않는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몇몇 예외사항에 따라 무관사인 경우가 있다:

고유명사 앞에는 대체로 the를 붙이지 않는다. 그래서 산과 호수명 앞에는 the를 붙이지 않지만, 산맥(mountain ranges), 강(rivers), 바다(seas), 대양(oceans) 앞에는 정관사를 쓴다. 

Mount Kilimanjaro, Lake Titicaca 
the Andes, the Mississippi, the Red Sea

② 대부분의 위치와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사구에서는 정관사 the가 쓰인다. 그런데, 장소를 나타내는 일부 관용표현은 가산명사를 불가산명사로 취급하여 관사 없이 쓴다. 

at the top, on the left, at the office, at the bank, at the cinema 
at homeat workin bedat sea 

③ 공공건물 본래의 목적으로 쓰이는 경우에는 무관사이다. 즉, school, university, college, hospital 등 장소를 나타내는 명사는 관사의 유무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I go to school by bus every morning. (학교)
He is going to the school to meet his friend. (친구를 만날 장소) 

Megan is in hospital.
메간은 입원 중이다. (환자로 입원 중)
I left my coat in the hospital when I was visiting Megan.
나는 메간을 방문했을 때 병원에 코트를 두고 왔다. (코트를 두고 온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