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의 직선적인(linear)관점과 동양의 순환적인(circular) 관점은 장시간에 걸쳐 발생하는 변화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토머스 모어는 자신의 논문에서 완벽한 정부를 논하면서 '유토피아'라는 말을 만들어냈는데, 이 말의 어원인 그리스어는 '아무 곳에도 존재하지 않는'이라는 의미와 함께 '살기 좋은 곳'이라는 의미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물론 서양의 지성사에서 모어의 유토피아라는 개념이 전혀 새로운 것은 아니다. 플라톤의 공화국, 청교도주의, 셰이커 공동체, 모르몬주의, 미국과 프랑스의 혁명 등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성경에 등장하는 에덴동산과 새로운 예루살렘의 약속과 같은 경우만 제외하면, 위에 나열된 서양의 유토피아 개념에는 유교 사상이나 고대 중국의 사상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다음과 같은 독특한 특징이 있다.
유토피아를 향한 직선적 진보가 가정되어 있다.
일단 도달하면 그 상태는 영원히 지속된다.
운명이나 초인간적인 개입이 아닌 인간의 노력으로 유토피아에 이를 수 있다.
유토피아에서는 모두가 평등하다.
그리고 유토피아는 인간 본성에 대한 몇 가지 극단적인 가정에 기초해 있다.
이러한 다섯 가지 특징은 동양인의 미래에 대한 생각과는 여러면에서 반대된다. 동양인들은 진보보다는 '회귀'를 추구하고, 극닥적인 것들 사이의 '중용'을 추구한다. 그리고 동양의 유토피아는 '과거'에 존재하며, 인간의 소망은 '현재 상태에서 과거의 완전한 상태로 회귀하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고대 유대인들의 문화는 그리스보다는 중국의 문화와 비슷한 점이 많다. 유대인의 에덴동산도 '과거'에 존재하는 것이고, 그들 역시 과거로의 회복을 추구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
Note: Only a member of this blog may post a comment.